티스토리 뷰

반응형


엑셀에 데이터 정리 기능은 정말 잘 되어 있어 이제는 더이상 계산기가 필요없을 정도인데요.

특히 숫자가 커지고 많아지면 엑셀에 데이터를 입력해서 합계를 구하는 것이 훨씬 편한 것 같아요.


계산기로 계산할 때는 숫자 하나 잘못 입력하면 처음부터 다 다시 입력하여 계산해야 하지만

엑셀에는 그 잘못된 값만 다시 입력하면 되니 시간도 절약되고 또 정확하게 계산이 되어지니까요.


엑셀에 입력한 데이터들의 합계를 구할 때는 엑셀의 자동합계 기능을 이용하면 굉장히 편리한데요.

엑셀 자동합계 방법 알아볼께요.




엑셀 자동합계




엑셀 자동합계 기능을 사용하려면 먼저 데이터 입력 후 합계를 구하고자 하는 셀에 마우스를 가져가

클릭을 한 상태에서 홈 메뉴를 클릭해요.



홈을 클릭하면 오른쪽에 자동합계 구하는 ∑ 모양의 버튼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자동합계 버튼이에요.




자동합계 기능은 셀 값을 자동으로 합산하며 합계는 선택한 셀 뒤에 표시된다고 설명이 되어 있네요.



자동합계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앞의 데이터들을 더해서 선택된 셀 다음 칸에 표시를 해 주는데요.

합계라고 쓴 오른쪽 셀을 선택하고 자동합계 버튼을 누르니 위의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합계를 구해주는데요.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합계라고 친절하게 눈에 보이도록 선택된 영역을 표시해 주어 확인하기가 더 편해요.

합계를 구하고자 하는 값들이 잘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고 엔터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합계를 구하고자 하는 영역이 아니라면 다시 마우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으로 선택할 수도 있어요.



예산에 대한 데이터들의 자동합계를 계산했는데요.

옆 칸의 실제에 대한 내용도 같이 합계를 구하고자 한다면 같은 방식으로 ∑ 모양의 자동합계버튼을 클릭하여

엑셀 자동합계를 구해도 되지만 마우스를 드래그해서 같은 서식을 적용하면 더 빠르게 옆칸의 합계도 구할 수 있어요.


예산 합계 계산한 셀에 마우스를 두고 오른쪽 아래에 +자 표시가 나오면 마우스를 오른쪽으로 끌어서

옆 칸에도 동일 서식을 적용하면 더 쉽게 옆 줄의 합계도 구해지는데요.



마우스를 옆으로 끌어 가니 예산 합계 계산된 셀 옆에 실제 줄의 데이터들의 합계도 자동으로 계산된 것을 볼 수 있어요.



오른쪽으로 계속해서 데이터가 많이 있다면 자동합계를 쓰는 것보다 마우스를 끌어 서식이 복사되게 하여

더 빠르게 자동합계를 계산할 수 있으니 적용해 보세요.


엑셀 자동합계는 데이터들의 합을 편하게 계산할 수 있어서 많이 이용하게 되는데요.

홈 메뉴에서 ∑ 모양의 버튼을 이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자동합계 기능 사용해 보세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