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엑셀 파일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파일 용량이 점점 커지게 되는데요.

파일 용량이 커지면 파일을 여는데도 오래 걸리고 저장하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는데다가

또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힘들어 골치가 아파지더라구요.


그렇다고 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지울 수는 없을텐데요.

간단하게 엑셀 파일 용량 줄이는 방법이 있어서 알아봤어요.




엑셀 용량 줄이기



엑셀 파일의 용량을 대부분 차지하는 것은 숫자나 글자 등 텍스트가 아니라 이미지인데요.

이 이미지들을 압축하여 엑셀 파일 크기 줄이기를 할 수 있어요.


1. 그림 파일 압축

엑셀 그림 용량 줄이기를 하려면 먼저 줄이고자 하는 엑셀 파일을 열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하게 되면 맨 아래 도구 버튼이 있어요.



도구 버튼을 클릭하면 옵션 메뉴들이 나오는데요.

가장 아래쪽에 그림 압축이 있어요.




그림 압축을 클릭하면 압축 옵션과 해상도가 나오는데요.

제 파일은 HD(330ppi)로 되어 있었는데 해상도를 조절하여 파일 용량을 줄일 수 있어요.


웹(150ppi)나 전자메일용 96ppi로 조절하면 엑셀 그림 용량이 줄어서 파일 용량도 줄어들게 돼요.




내 파일에는 그림이 많지 않은데도 파일 용량이 커서 줄이고 싶을 때는 

파일 형식을 변경하면 되는데요.




2. 엑셀 파일 바이너리 형식으로 저장


파일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면 파일 이름 아래에 파일 형식이 나오는데요.



파일 형식에 Excel 통합 문서 대신 *.xlsb로 저장되는 엑셀 바이너리 통합문서로 저장하면 

엑셀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필요없는 개체를 삭제해 주는 방법이 있는데요.


3. 개체 삭제


오래 엑셀 파일을 수정하고 사용한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은 개체들이 파일 내에 있을 수 있는데

이 개체들을 삭제하여 엑셀 용량을 줄이는 방법이에요.


엑셀 파일에서 Ctrl + G를 입력하면 이동 창이 열리는데요. 

아래 쪽에 옵션을 클릭해요.



그러면 이동 옵션 창이 뜨는데요.

거기서 개체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개체들이 선택되어 눈에 띄게 되는데요.



이 개체들 중 필요없는 개체를 삭제하면 파일 용량을 줄일 수 있어요.

엑셀 용량 줄이고 싶다면 이 3가지 방법으로 크기 줄여보세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